요한 1세 요제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1세 요제프는 1760년에 태어나 1836년에 사망한 리히텐슈타인의 군주이다. 그는 군인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특히 에크뮐 전투, 아스페른-에셀링 전투, 바그람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육군원수로 진급했다. 군에서 사임한 후에는 리히텐슈타인 후작으로서 계몽전제주의적 개혁을 추진하고, 예술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의 후손들은 현재까지 리히텐슈타인 후작가로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빌헬름 뮐러
빌헬름 뮐러는 독일의 시인이자 학자로, 슈베르트 가곡 《겨울 나그네》와 《아름다운 물레방앗간의 아가씨》의 시를 쓴 것으로 유명하며, 현실의 고뇌와 좌절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독특한 시각으로 독일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하며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루이 르네 마들렌 드 라투슈 트레빌
루이 르네 마들렌 드 라투슈 트레빌은 프랑스 해군 제독이자 정치가로서, 7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시기를 거치며 해군과 육군에서 활약했고 나폴레옹 시대에는 영국 침공 계획을 지휘했으나 병사했다. - 리히텐슈타인 후작 - 한스아담 2세
한스아담 2세는 1989년 리히텐슈타인 공으로 즉위하여 LGT 은행을 성장시키고 정치적 견해를 피력했으며, 2004년 아들에게 섭정 역할을 넘겨주었다. - 리히텐슈타인 후작 - 프란츠 요제프 2세
프란츠 요제프 2세는 1938년부터 1989년까지 리히텐슈타인을 통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립을 지키고, 전후 국가 경제를 발전시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로 만들었으며, 여성 참정권 도입과 외교 관계 유지에 힘썼다. - 오스트리아의 장군 - 요한 폰 클레나우
오스트리아 제국군 장군인 요한 폰 클레나우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얻었고,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의 공헌으로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을 수여받았다. - 오스트리아의 장군 - 카를 필리프 추 슈바르첸베르크 후작
카를 필리프 추 슈바르첸베르크 후작은 오스트리아의 육군 원수이자 외교관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연합군을 지휘하여 나폴레옹에게 패배를 안겼고 러시아와 프랑스 주재 대사, 빈 회의 참석 등 외교관으로도 활동했다.
요한 1세 요제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트로파우 공작 예거른도르프 공작 |
후계 | 리히텐슈타인 공작 |
통치 시작 | 1805년 3월 24일 |
통치 종료 | 1836년 4월 20일 |
이전 | 알로이스 1세 |
계승자 | 알로이스 2세 |
본명 | 요한 밥티스트 요제프 아담 요한 네포무크 알로이스 프란츠 데 파울라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760년 6월 26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
사망일 | 1836년 4월 20일 |
사망지 | 오스트리아 제국 빈 |
매장지 | 성모 탄생 교회, 브르노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프란츠 요제프 1세 |
어머니 | 레오폴디네 폰 슈테른베르크 |
배우자 | 요제파 추 퓌르스텐베르크-바이트라 여백작 |
자녀 | 마리아 레오폴디네 공주 카롤리네 공주 알로이스 2세 조피 공주, 에스테르하지 폰 갈란타 백작부인 마리아 요제파 공주 프란츠 데 파울라 카를 요한 클로틸다 공주 헨리에테 공주, 후냐디 폰 케텔리 백작부인 프리드리히 아달베르트 공자 에두아르트 프란츠 아우구스트 공자 이다 공주, 파르 공작부인 루돌프 공자 |
가문 | |
가문 | 리히텐슈타인 가문 |
2. 어린 시절
1760년 6월 26일 빈에서 리히텐슈타인 후작 프란츠 요제프 1세와 레오폴디네 폰 스테른베르크 사이의 5남 3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프랑스 혁명 전쟁 시기, 요한 1세 요제프는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명성을 쌓았다. 1793년 9월 12일 아벤느레섹 전투에서는 "뛰어난 기병 작전"을 선보이며 참전했다.[2][3] 이 전투에서 프랑스 공화국 군대는 4,663명 중 2,000명의 사상자를 냈으나, 동맹군은 단 69명의 손실만 입었다. 또한 오스트리아군은 프랑스군 2,000명을 포로로 잡고 20문의 포를 노획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5][16]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요한은 여러 전투에 참전하며 명성을 얻었다.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는 4,600명의 기병을 이끌었다.[21][8] 그의 부대는 선전했지만, 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의 참패를 막지는 못했다. 전투 후 그는 나폴레옹 1세와 직접 협상하여 프레스부르크 조약 체결을 이끌었다.
리히텐슈타인 후작으로서 요한 1세는 선진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동시에 계몽 전제주의적인 통치 방식을 선호했다. 1818년에는 내용상 제한적이기는 했지만 헌법을 제정했다. 그는 행정부를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농업과 임업을 장려했으며, 근대적인 영지 관리를 추구했다. 예술에도 관심을 보여 영국식 정원과 비더마이어 양식의 공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1792년 4월 12일 빈에서 퓌르스텐베르크-바이트라의 요제파 란트그라핀과 결혼하여 슬하에 7남 7녀를 두었다.
요한 1세는 22세의 나이에 군에 입대하여 흉갑기병 연대에서 중위로 복무를 시작했다. 이후 제8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하여 소령, 중령, 대령으로 빠르게 승진했다. 1790년에는 뛰어난 기병 장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마리아 테레지아 훈장을 받았다.
3. 프랑스 혁명 전쟁
1794년 6월에는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진급 직후 플뢰뤼스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1796년 9월 3일 뷔르츠부르크 전투에서는 안톤 슈타라이 사단 소속의 기병과 보병 혼합 여단을 지휘했다.[4][17] 이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지휘자 십자장(사령관 십자훈장)을 받았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 발발하자, 1799년 트레비아강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예비군을 지휘했다.[5][18] 같은 해 8월에는 중장으로 진급했다. 그해 11월부터 12월까지 이어진 쿠네오 포위전에서는 8,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성공적으로 도시를 함락시켰다.[6][19] 1800년 12월 3일에는 호엔린덴 전투에서 5,109명으로 구성된 기병 사단을 지휘했다.[7][20]
4. 나폴레옹 전쟁
1805년, 자녀 없이 사망한 형 알로이스 1세의 뒤를 이어 리히텐슈타인 후작이 되었다. 이후 1808년에는 기병 대장 계급을 받았다.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카를 대공 휘하에서 제1 예비 군단을 지휘했다.[22][9] 그는 기병과 척탄병(근위 보병)을 이끌고 1809년 4월 22일 에크뮐 전투, 5월 21일~22일 아스페른-에슬링 전투, 7월 5일~6일 바그람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카를 대공이 사임한 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 육군의 주력 부대를 지휘했으며, 1809년 말까지 이 책임을 맡았다. 같은 해 9월, 프란츠 2세 황제는 그를 육군원수로 진급시켰다. 그는 쇤브룬 조약의 협상과 서명을 담당했으나, 이 조약은 나폴레옹에게 매우 유리하고 오스트리아 제국에는 가혹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로 인해 요한은 외교적 수완이 부족하다는 비판에 직면했고, 결국 1810년 비판을 피해 군에서 사임했다.
5. 리히텐슈타인 통치
1806년 나폴레옹은 리히텐슈타인을 라인 동맹에 편입시키면서 동시에 주권 국가로 인정했다. 이후 빈 회의에서도 리히텐슈타인의 주권은 다시 한번 승인되었다. 1815년 리히텐슈타인은 독일 연방의 회원국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주권 국가로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요한 1세는 1836년 빈에서 사망했다.
6. 가족
6. 1. 자녀
1792년 4월 12일, 그는 빈에서 퓌르스텐베르크-바이트라의 요제파 란트그라핀(1776년 6월 21일 ~ 1848년 2월 23일)과 결혼하여 슬하에 7남 7녀, 총 14명의 자녀를 두었다. 현존하는 리히텐슈타인 후작가의 구성원들은 모두 요한 1세 요제프의 후손이다. 장남 알로이스 2세와 삼남 카를 요한의 가계는 단절되었고, 차남 프란츠 데 파울라와 오남 에두아르트 프란츠의 가계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 리히텐슈타인 후작가의 직계는 차남 프란츠 데 파울라의 후손이다.
사진 | 이름 | 생몰년 | 배우자 | 자녀 | 비고 |
---|---|---|---|---|---|
레오폴디네 마리아 | 1793년 9월 11일 ~ 1808년 7월 28일 (14세) | - | - | 요절 | |
카롤리네 | 1795년 2월 2일 ~ 1795년 2월 2일 | - | - | 요절 | |
![]() | 알로이스 2세 | 1796년 5월 26일 ~ 1858년 11월 12일 (62세) | 위시니츠와 테타우의 프란치스카 킨스키 여백작 | 슬하 2남 9녀 (요한 2세, 헨리에테, 프란츠 1세) | 리히텐슈타인 후작, 프란츠 요제프 2세의 외증조부 |
![]() | 조피 마리아 | 1798년 9월 5일 ~ 1869년 6월 27일 (70세) | 에스테르하지의 빈첸츠 백작 | 자녀 없음 | 엘리자베트의 시녀 |
마리 요제피네 | 1800년 1월 11일 ~ 1884년 6월 14일 (84세) | 미혼 | 자녀 없음 | - | |
![]() | 프란츠 데 파울라 | 1802년 2월 25일 ~ 1887년 3월 31일 (85세) | 에와 유제피나 줄리아 포토츠카 여백작 | 슬하 3남 1녀 | 프란츠 요제프 2세의 증조부 |
카를 요한 | 1803년 6월 14일 ~ 1871년 10월 12일 (68세) | 그륀느의 로잘리 여백작 | 슬하 2남 1녀 | 리히텐슈타인 공국 섭정 | |
클로틸데 | 1804년 8월 19일 ~ 1807년 1월 27일 (2세) | - | - | 요절 | |
헨리에테 | 1806년 4월 1일 ~ 1886년 6월 15일 (80세) | 후나디 드 케슬리의 요제프 백작 | 슬하 1남 1녀 | - | |
프리드리히 아달베르트 | 1807년 9월 22일 ~ 1885년 5월 1일 (77세) | 조피 뢰베 | 자녀 없음 | 오스트리아 금양모 기사단 기사 | |
![]() | 에두아르트 프란츠 | 1809년 2월 22일 ~ 1864년 6월 27일 (55세) | 콜로니오와-촐로니에프스카의 호노리아 여백작 | 슬하 1남 1녀 | - |
아우구스트 | 1810년 4월 22일 ~ 1824년 5월 27일 (14세) | - | - | 요절 | |
이다 | 1811년 9월 12일 ~ 1884년 6월 27일 (72세) | 파르 후작 카를 4세 | 슬하 4남 8녀 | 별 십자 훈장 기사 | |
루돌프 | 1816년 10월 5일 ~ 1848년 6월 19일 (31세) | 미혼 | 자녀 없음 | - |
참조
[1]
학위논문
The soldier as a builder: Johann I. Joseph, Prince of Liechtenstein (1760–1836)
https://is.muni.cz/t[...]
Masaryk University
2024-05-03
[2]
문서
Smith, p 54-55.
[3]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and the Rise of the Marshals of Napoleon I
Oxford University Press
1926
[4]
문서
Smith, p 122
[5]
문서
Smith, p 160
[6]
문서
Smith, p 174
[7]
문서
Arnold, p 276
[8]
문서
Chandler, p 420
[9]
문서
Bowden & Tarbox, p 71
[10]
간행물
Hof- und Staats-Schematismus der Röm. Kais. auch Kais. Königlich- und Erzherzoglichen Haupt-und-Residenzstadt Wien
1791
[11]
간행물
Hof- und Staats-Schematismus der Röm. Kais. auch Kais. Königlich- und Erzherzoglichen Haupt-und-Residenzstadt Wien
1797
[12]
간행물
Hof- und Staats-Schematismus der Röm. Kais. auch Kais. Königlich- und Erzherzoglichen Haupt-und-Residenzstadt Wien
1802
[13]
간행물
Hof- und Staats-Schematismus des Österreichischen Kaiserthums
1807
[14]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https://books.google[...]
l'Académie Imp. des Sciences
[15]
문서
Smith, p 54-55.
[16]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and the Rise of the Marshals of Napoleon I
Oxford University Press
1926
[17]
문서
Smith, p 122
[18]
문서
Smith, p 160
[19]
문서
Smith, p 174
[20]
문서
Arnold, p 276
[21]
문서
Chandler, p 420
[22]
문서
Bowden & Tarbox, p 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